한국문학 소개 40여년, 웨이쉬성 베이징대 교수 (한겨레신문 10.10자)

“한글 표현력 따라갈 언어 없죠”

평생을 한글과 한국문학 연구에 매진해온 중국인 노교수가 53년 만에 꿈을 이뤘다. 웨이수청(77) 베이징대 동방언어문학부 교수가 그 주인공. 웨이 교수는 559돌 한글날인 9일 ‘40여년간 중국인들에게 한국문학을 소개하는 등 한국어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우리 정부로부터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한국어 연구 53년 만에 꿈을 이뤘어요. 큰 기대는 안했지만, 업적을 인정받았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기쁩니다.” 한글날 기념식 참석을 위해 8일 한국 땅을 밟은 그의 표정은 상기돼 있었다. 하얗게 센 머리카락, 움푹 들어간 눈과 도드라져 보이는 광대뼈는 평생을 한국어 연구와 보급에 바쳐온 그의 경력과 학문의 깊이를 말해주고 있다.


웨이 교수는 그동안 중국에서 <조선문학사> <임진록> <조선어실용문법> 등을 펴냈으며, <황진이> <사씨남정기> <홍루몽> 등을 번역했다. 2000년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집대성한 <웨이수청 문집>(전 6권)을 펴내기도 했던 그는 국내외 학계에서 “한국문학을 연구하는 외국인 가운데 독보적”이라는 평을 받는다. 한류 열풍을 타고 한국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는 요즈음 더 바빠졌다. “중국인들이 한국말을 쉽게 접하고, 정확한 한국말을 쓰도록 하는 게 제가 할 일인걸요”라며 웃었지만, 문학말고도 문법에 관한 사항이 그의 새로운 연구대상이 됐기 때문이다.


그가 한글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열다섯 살 때였다. 고향인 난징에서 우연히 만난 조선의 한 젊은이가 그의 인생 항로를 결정지었다고 한다. “중국과 조선이 힘을 모아 일제의 강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청년이 남긴 말은 어린 그의 뇌리에 깊이 박혔고, 1947년 난징 국립동방언어전문학교에 입학한 그는 한국어를 전공으로 선택했다. 하지만 그는 2년 뒤 스물한 살이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한국어를 배울 수 있었다. 당시 난징을 함락시킨 국민당 정부는 그가 다니던 학교를 강제 해산하고, 베이징대에 조선어과를 만들어 편입시켰다.


웨이 교수는 대학 3학년 때 조선족이 많이 살고 있는 연변에서 1년간 생활하며 한글을 익혔다고 한다. “연변에서 생활하지 못했다면 지금처럼 한국말을 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그의 한국어 실력은 한국인 못지 않게 뛰어나다. “한글은 과학적으로도 우수하지만 매우 특별해요. 사물의 상태를 표현하는 말이 매우 다양하면서도 명확하고, 계층(존칭어)과 인칭을 표현하는 말도 많아요. 중국어나 영어는 한글의 표현력을 따라갈 수 없어요.”


웨이 교수는 한국의 젊은이들이 한글과 고전문학을 경시하는 세태를 안타까워했다. “한국인들은 한국말을 쉽게 배워 쓰니까 그 우수성을 몰라요. 중국에 온 한국 유학생들 가운데 구운몽이나 사씨남정기 같은 고전을 읽었다는 학생을 보지 못했어요. 한국의 젊은이들은 한글과 한국문학에 대해 자부심과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글·사진 김미영 기자 kimmy@hani.co.kr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내린 백두산  (4) 2005.10.13
정답 : 한글  (0) 2005.10.13
'청계천 새물맞이 축제'  (0) 2005.09.23
가을의 기도  (2) 2005.09.17
장도기원 - 친구 정경훈  (0) 2005.08.13

연변지역 교민 자녀들의 국내 연계교육을 실시하여 귀국후 국내 적응능력을 제고하고, 세계문화를 배우고 민족문화를 이해하는 긍지높은 한국인을 키워 세계인과 어우러 생활할 수 있는 국제인을 양성하고자 한국과 중국 양국정부로부터 정식인가를 받아 설립된학교입니다.


이 교문을 들어서면 아이들의 행복한 배움터입니다.


늘 꽃이 피고 시원한 그늘이 있는 정원.




현관의 고구려와 발해 역사관. 한번 훑어보면 고구려 발해 공부 끝 !!!


교장실. 태극기와 오성홍기가 이 곳이 중국임을 말해 줍니다.


일반교실의 모습. 지금은 체육 아니면 한어나 영어 시간인 듯,


도서관.잘 생긴 두 학생이 아주 진지하게 독서 삼매중!!!


과학실. 언제라도 실험 가능 !!!


컴퓨터실. 손님들이 오셔서 보니까 잘 안되네요^-^


한국보다 점심이 더 맛있는 식당. 양도 많이 줍니다.


한어 게시판. 중국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의 경연장


학생들이 배우는 한어교재


이 정도면 한어 글씨가 몇 점쯤 되나요?


미술실과 학생작품인'우리들 향기'


실내체육관. 언제라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한가위 한마당. 외국에 있어도 우리 전통을 잊지 않습니다.

'YANBI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변통신4  (4) 2005.10.19
만천성(滿天星)  (3) 2005.10.17
仙景臺 가을여행  (0) 2005.10.09
아! 용정 선구자의 고장  (8) 2005.10.02
연변한국국제학교  (4) 2005.09.14


연변 화룡시에 있는 선경대의 암릉


우리의 바위산과 소나무의 모습이 너무 닮아 중국이라는 느낌이 안든다


선이암 - 신선은 가고귀만남아 새소리 바람소리를 듣는다


신선굴. 참선하기에 너무 좋다는 느낌. 전망도 끝내준다.


신선굴에서 바라보는 맞은 편 봉우리


고려봉에 올랐다. 영문 이름도 Koean peak!!


안내판은 우리글과 중국글을 병기하고 있다.'계'는 '구'의 잘못?


가을속을 참하게 걷는 여자秋女


발해왕도 다녀갔다는 홀로 우뚝한 독수봉에 서본다

'YANBI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천성(滿天星)  (3) 2005.10.17
연변한국국제학교2  (6) 2005.10.12
아! 용정 선구자의 고장  (8) 2005.10.02
연변한국국제학교  (4) 2005.09.14
연변통신3  (1) 2005.09.13


경박호에서 가까운 곳에발해진이 있다. 발해를 찾아가는 백양숲길

국가중점문물보호단위 발해국 상경용천부 유지 - 흑룡강성인민정부


복원은 했으나 넓은 성터는 콩밭과 옥수수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인걸은 간데없고 주춧돌만 줄지어 남아있는 성터를 거니는 나그네


남문밖에 남아있는 주춧돌은 화산암. 급격한 화산활동으로 발해가 망했다는 말은 안 맞는다


조촐한 발해박물관


박물관 앞마당에도 가을은 깊었다


발해진의 발해중학교. 이 내륙에 어찌하여渤海라는 바다이름이 붙었는가?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동쪽에는?  (3) 2005.11.13
겨울 백두산의 모습  (5) 2005.11.13
흑룡강성 경박호(鏡泊湖)  (1) 2005.10.09
아! 백두산 2  (2) 2005.09.24
아! 백두산 1  (1) 2005.09.24


안도 돈화를 거쳐 경박을 찾는 길에 만난 그림같은 호수 - 기러기 울어예는雁鳴湖


경박폭포가 쏟아져 내리는 북안


깊어가는 가을속의 경박폭포 남안


백리길을 달려간 곳에 화산구가 있다. 뒤로는 천인단애의화산분출구


깊은 산속 원앙호(鴛鴦湖), 그대로 한폭의 달력 사진이다


방대한 화산지대 위에 경박호는 은물결로 반짝이고


경박협곡은 가을속에서 청명하다


경박을 떠나며 만난 양떼가 이국적이다

'CHI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동쪽에는?  (3) 2005.11.13
겨울 백두산의 모습  (5) 2005.11.13
발해 상경용천부  (0) 2005.10.09
아! 백두산 2  (2) 2005.09.24
아! 백두산 1  (1) 2005.09.24


아내가 며칠간 다녀갔다. 선경대 가던 길에 주워온 호박, 밖에는 비만 내리고......


발해 상경용천부 궁궐터에서 주워온 기왓장


실내화 하나는 주인을 보냈고


안경 또한 주인을 못 따라갔다


1박2일 수없이 보았던 지도 - 엄청난 거리를, 깊은 가을속을 달렸다


조수석에는 공항입장권 한장만 놓여있고


쓸데없이 침대는 넓다


역시 여자들은 정리를 잘한다

'PRIV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 국  (5) 2006.01.12
오래된 편지  (1) 2005.10.19
新白頭山謹參記  (1) 2005.09.24
이별은 어렵다  (0) 2005.08.12
가족 여행  (2) 2005.08.11


비암산 정상에 세워진 일송정 정자


정자앞으로 용정 시내와 넓은 곡창의 평야가 펼쳐진다


천년 두고 흐르는 한줄기 해란강과 말달리던 들판


용정 찬가 - 천헤의 땅 성스러운 터 용정이라고 노래하고 있다


용두레 우물터 - 시내 중심에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용정 시내 들어가는 룡문교 -온통용의 고장이다


선구자를 길러낸 학교 대성중학 - 현재 '룡정중학' 안에 있다


대성이 낳은 민족시인 윤동주 기념관 안의 그림


일본 간도총영사관 건물 - 현재 룡정시 인민정부로 쓰이고 있다


일본 총영사 관저 - 현재 텔레비젼 방송국으로 쓰이고 있다

'YANBI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변한국국제학교2  (6) 2005.10.12
仙景臺 가을여행  (0) 2005.10.09
연변한국국제학교  (4) 2005.09.14
연변통신3  (1) 2005.09.13
연변통신2  (1) 2005.09.13
그림의 아래에 있는 노래의 제목을 누르시면 음악을 들으실수가 있습니다





"트로이메라이(Traumerei)"는 독일이 자랑하는슈만의 피아노 모음곡 "어린이의 정경"중에 나오는 음악으로 자신의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면서 만든 열 세 곡 중 일곱 번째 곡입니다.


♪ 슈만의 "꿈"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모 베터 블루스’는 ‘스파이크 리’ 감독의 영화이며 클럽에서 트럼펫을 연주하는 평범한 흑인 재즈 음악가의 음악, 사랑, 좌절을 통해 인생의 의미를 그린 영화입니다.


♪ Mo Better Blues - 브랜포드 마샬리스



The Rose는 노래와 인기, 그리고 그것에 따르는 고민과 갈등의 삶을 살아가는 한 여가수의 인생을 그린 드라마입니다.
실존 인물 ‘제니스 조플린’의 일화를 다룬 이 영화는 ‘베티 미들러’의 데뷔작이기도 합니다^^


♪ The Rose - Bette Midler



오, 대니 보이
전쟁터에 나가는 아들에게 아버지가 보내는 애틋한 사랑의 노래입니다.


♪ 대니 보이(Danny Boy) - Harry Belafonte



언젠가 뉴스에서 이런 얘기를 들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세월이 흐르면 우리나라도 겨울이 없는 아열대 기후로 바뀐다는군요.

우리의 후손은 겨울을 기억할런지...


♪ 일요일이 다가는 소리 - 노래를 찾는 사람들



국화꽃 져 버린 겨울 뜨락에
창 열면 하얗게 뭇서리 내리고
나래 푸른 기러기는 북녁을 날아간다
아 이제는 한적한 빈 들에 서 보라
고향길 눈 속에선 꽃등불이 타겠네
고향길 눈 속에선 꽃등불이 타겠네

달 가고 해 가면 별은 멀어도
산골짝 깊은 골 초가 마을에
봄이 오면 가지마다 꽃 잔치 흥겨우리
아 이제는 손 모아 눈을 감으라
고향집 싸리울엔 함박눈이 쌓이네
고향집 싸리울엔 함박눈이 쌓이네


♪ 이수인 - 고향의 노래





♪ 엘가 - 위풍당당 행진곡




♪ 별은 빛나건만 - 푸치니의 "토스카"에서





♪ 영화 "브룩클린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 A Love Idea



무심코 길을 걷다가
들려오는 음악에 취해 본 적이 있나요?

그렇게 많이 알려진 노래는 아니었었는데
영화 "쉬리"로 더욱 유명해진 그 노래입니다.


♪ Carol Kidd - "When I Dream"



하늘 -박두진-

하늘이 내게로 온다. 여릿여릿 멀리서 온다
하늘은, 멀리서 온 하늘은 호수처럼 푸르다.

호수처럼 푸른 하늘에 내가 안긴다. 온몸이 안긴다.

가슴으로 가슴으로 스며드는 하늘
향기로운 하늘의 호흡

초가을 따가운 햇볕에 목을 씻고
내가 하늘을 마신다. 목말라 자꾸 마신다.

마신 하늘에 내가 익는다. 능금처럼 마음이 익는다.


♪ 하늘 - 양희은



교복입던 시절 가을이 익어가는 때에
학교에서 발표회나 예술제를 하게 되면 관악기로 이루어진 뺀드부(?) 연주에서 빠지지 않는 레퍼토리가 경기병(Light cavalry) 시인과 농부(Poet and peasant) 천국과 지옥(Orpheus in the underworld) 등의 서곡이었습니다.


♪ 시인과 농부 서곡 - 주페





♪ 조동진 - 나뭇잎 사이로





♪ 파블로 카잘스 - 무반주 첼로 모음곡 1번 prelude(전주곡)



바이올린 연주자는 "수사네 룬뎅"(Susanne Lundeng)
제목은 "예이 세르 데이 서테 람"(Jer Ser Der Sote Lam)
뜻은 "그대 곁의 소중한 사람"입니다.

노르웨이 전래 민요를 편곡한 것입니다.


♪ 수사네 룬뎅 - 그대 곁의 소중한 사람



모든 국가들아 주를 찬양하라.
모든 백성들아 주를 찬양하라.
그의 자비가 우리에게 위대하도다.
주의 진리가 영원하리라.
성부와 성자 성령께 영광이 있을지어다.
태초로 지금까지도 영원 무궁토록. 아멘.


♪ 모차르트 - Laudate Dominum(주를 찬양하라)



"우린 제가 가보지 못한 그 어떤 곳을 향해 가고 있어요
때로는 두렵기도 하지만
난 사랑의 힘을 배울 준비가 되어 있어요"


♪ The power of love - Celine Dion



어릴적 비가 그치고 나면 오랜만에 만나는 눈부신 햇빛과 함께 다른 재미가 우리를 기다립니다.
비갠후 2-3일이 지나면 도랑물도 많이 깨끗해지는데 이곳은 새로운 놀이터입니다.
신발을 벗고 들어가서 물에 떠내려온 고철들을 주워서 엿을 바꿔먹습니다.
놋 종류는 특히 엿장수 아저씨들이 반기는 물건이었고 어떤 친구는 동전을 줍기도 하였는데
이날은 크게 횡재한 날이지요.
어머니는 큰 고무통에 빗물을 받아서 빨래를 하였고...
물이 미끄럽고 좋다고 머리를 감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또 한해의 우기(雨期)를 보냈습니다.

♪ 쇼팽 - 전주곡 15번 "빗방울"



보헤미아의 숲 속에서 시작하는 두 개의 샘물...
하나는 따뜻하고 다른 하나는 차갑다.
이 두 줄기의 물이 한데 어울려 흘러 내려가며
바위에 부딪히고 골짜기를 누비면서 차츰 강폭을 넓혀 간다.
강 줄기는 깊은 숲과 푸른 목장을 거치며
몰다우의 거대한 강물이 되어 프라하 시로 흘러 든다.


♪ 스메타나 - 몰다우



첼로를 말할 때 빼어놓을 수 없는 연주자
지금은 가고 없지만 아직도 못다한 사랑의 노래를 들려주는영원한 첼로의 딸 "재클린 뒤 프레"(Jacqueline du Pre)


♪ 부르흐의 "콜 니드라이"(Kol Nidrei) - 재클린 뒤 프레

'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맑은 노래  (1) 2005.11.11
자크린느의 눈물  (6) 2005.11.02
G.Handel - Lascia ch'io pianga(울게하소서)  (0) 2005.09.30
가장 아름다운 가을 노래  (0) 2005.09.23
환상의 기타 선율  (0) 2005.09.22

[##_1C|JMSUJFAQRGOSTXBZXSEUNDGXIDPZKW.|

Lascia ch'io Pianga la dura sorte,
E che sospiri la lilberta!
E che sospiri, e che sospiri la liberta!
Lascia ch'io Pianga la dura sorte,
E che sospiri la lilberta!

Il duolo infranga queste ritorte
de miei martiri sol per pieta!
de miei martiri sol per pieta!

Lascia ch'io Pianga la dura sorte,
E che sospiri la lilberta!
E che sospiri, e che sospiri la liberta!
Lascia ch'io Pianga la dura sorte,
E che sospiri la lilberta!

가혹한 운명과 자유의 탄식 속에
주여, 나를 울게 하소서
주여, 나를 울게 내버려 두오
가혹한 운명과 자유의 탄식 속에
나를 울게 하소서

자비를 위한 나의 고통에서
벗어 날 수 있도록.
벗어 날 수 있도록.

가혹한 운명과 자유의 탄식 속에
주여, 나를 울게 하소서
주여, 나를 울게 내버려 두오
가혹한 운명과 자유의 탄식 속에
나를 울게 하소서

'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크린느의 눈물  (6) 2005.11.02
음악 선물 한다발  (0) 2005.09.30
가장 아름다운 가을 노래  (0) 2005.09.23
환상의 기타 선율  (0) 2005.09.22
가을 수채화  (0) 2005.09.16

서 시

안 병 렬

설익은 사랑이라

때로는

미워도 했습니다.

하도 얕은 사랑이라

때로는

저주마저 하였습니다.

그래도

사랑은 사랑이라

때로는

부여잡고 울고도 싶었습니다.

어떻게

그분처럼 그렇게

거룩한 사랑으로

여기

피 한 방울 남김없이

쏟을 수 있을까요?

- '연변에의 아가'에서

'LITERA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鄕 愁 /  (1) 2005.11.30
/八道의 가을/  (1) 2005.10.24
당신을 보았습니다  (2) 2005.09.26
/신백두산근참기/  (1) 2005.07.25
날마다 기도하는 세 가지  (1) 2005.07.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