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YRIE(자비송)

 

Kýrie eléison(기리에 엘레이쏜)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Chríste eléison(끄리스떼 엘레이쏜) 그리스도님 자비를 베푸소서

Kýrie eléison(기리에 엘레이쏜)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 -son의 발음은 "쏜"으로 적었지만 영어의 "sun"에서 "s"의 발음처럼 된발음입니다.  이 -son을 "손"으로 발음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요.

 

 

2. GLORIA(대영광송) 

 

대영광송 전례문을 라틴어 원문과 우리말 번역을 비교해 보면 앞 부분에서 순서가 제대로 맞지 읺습니다.

  라틴어 원문은 라틴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수사학적인 아름다움이

 강조되어 있으며(사실 신학과 전례학적 측면에서 볼 때는 삼위일체의 동질성을 더욱 강조하려는 배려까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말 번역은 사목적 배려가 큼을 알 수 있습니다.

 

라틴어 원문과 순서에 차이가 나는 부분은 제가 다시 번역을 했고

그 아래 전례문에 사용된 번역문을 다시 올려 놓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Glória in exécelsis Déo. (글로리아 인 엑첼씨스 데오)

하늘 높은 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Et in térra pax homínibus bónae voluntátis.

(에틴 떼라 빡스 호미니부스 보네 볼룬따띠스

땅에서는 주님께서 사랑하시는 사람들에게 평화

 

Laudámus te. (라우다무스 떼)  주님을 찬양하나이다.

                                      주님을 기리나이다(전례문)

 

Benedicímus te. (베네디치무스 떼) 주님을 찬미하나이다.

                                           찬미하나이다(전례문)

 

Adorámus te. (아도라무스 떼) 주님을 현양하나이다.

                                     주님을 흠숭하나이다(전례문)

 

Glorificámus te. (글로리휘까무스 떼) 주님께 영광드리나이다.

                                             찬양하나이다(전례문)

 

* -fi 발음을 “휘”로 적어 놓았지만 영어 “f” 발음처럼 하십시요. –fi를 “피”로 발음하지 않도록 바랍니다.

 

Grátias ágimus tíbi própter mágnam glóriam túam.

(그라찌아스 아지무스 띠비 쁘롭떼르 마냠 글로리암 뚜암)

주님의 크신 영광에 감사하나이다

 

*propter의 발음을 “쁘롭뗄”이라고 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꼭 “쁘롭떼르”로 발음하시기 바랍니다.

 

Dómine Déus, Réx caeléstis, Déus Páter omnípotens.

(도미네 데우스, 렉스 첼레스띠스, 데우스 빠떼르 옴니뽀뗀스)

주 하느님 하늘의 임금님, 전능하신 아버지 하느님

 

Dómine Fíli unigénite jésu Chríste

(도미네 휠리 우니제니떼 예수 끄리스떼)

외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님

 

*대영광송을 부를 때 “jesu Christe”부분은 항상 템포를 배 이상 늘려서 천천히 부르며

주님을 다시한번 묵상할 수 있도록 전례분위기를 조성해야 됩니다.

 

*미사곡중에서 중간에 천천히 불러야 될 부분이 또 있습니다.

Credo(신경)에서 “Ex Maria Virgine, et homo factus est”와

Agnus Dei(하느님의 어린양)에서 “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부분 입니다.

 

Dómine Déus, Ágnus Déi, Fílius Pátris

(도미네 데우스, 아뉴스 데이, 휠리우스 빠뜨리스)

주 하느님 성부의 아드님, 하느님의 어린양

 

Qui tóllis peccáta mundi, miserére nobis.

(뀌 똘리스 뻭까따 문디, 미세레레 노비스)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 peccata처럼 자음 “c”가 두 개 연달아 사용되었을 경우 “pec-ca-ta”로 음절이 분할되며, “pec”은 마치 받침이 있는것처럼 “빽”으로 발음하십시요.

 

*miserere를 미제레레로 발음하는 것을 자주 들었습니다. 불란서와 독일,

미국등지에서 공부한 분들은 그렇게 발음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십디다.

그런데 라틴어는 이탈리아어의 고전어입니다.  따라서 저는 이탈리아식 발음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미세레레입니다.

 

Qui tóllis peccáta mundi, súscipe deprecatiónem nóstram.

(뀌 똘리스 뻭까따 문디, 수쉬뻬 데쁘레까찌오넴 노스뜨람)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저희의 기도를 들어 주소서.

 

* deprecationem deprecatio에서 파생된 말로 보통 일상적인 기도보다는

주님께 간절히 매달리며 마치 탄원하듯 바치는 간청입니다. 대부분의 그레고리오 미사곡에서도

 이 부분은 음이 올라 가면서 그 전후와는 다른 느낌을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제가 Gloria를 구성한다면 “Iesu Christe”부분 다음으로 “deprecationem” 부분에도 큰 비중을 둘것입니다.

 곡해석에 도움이 될까해서 제 의견을 드렸습니다.

 

Qui sédes ad déxteram Pátris, miserére nobis.

(뀌 세데스 앗 덱스떼람 빠뜨리스, 미세레레 노비스)

성부 오른편에 앉아 계신 주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Quóniam tu sólus sánctus.

(궈니암 뚜 쏠루스 쌍투스)

홀로 거룩하시고

 

Tu sólus Dominus

(뚜 쏠루스 도미누스)

홀로 주님이시며

 

Tu sólus Altíssimus, Iésu Christe.

(뚜 쏠루스 알띳씨무스, 예수 끄리스떼)

홀로 높으신 예수 그리스도님

 

Cum Sáncto Sprítu, in glória Déi Pátris.  Amen.

(꿈 쌍또 스피리뚜, 인 글로리아 데이 빠뜨리스.  아멘)

성령과 함께 아버지 하느님의 영관 안에 계시나이다. 아멘

 

3. SANCTUS(거룩하시도다)

 

원래 미사곡을 전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례문의 내용을 한자도 더하거나 덜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많은 작곡가들이 전례문의 내용만으로는 곡을 쓰지 않고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전례문 내용을 크게 해치지 않는 범주내에서라면 허용되고 있습니다.

 

노엘미사곡 중 Sanctus의 첫 부분만 예를 듭니다.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Sanctus Deus Deus sabaoth,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Sanctus Deus sabaoth”.

 

원래 전례문에서는 이렇습니다.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Deus Sabaoth”.

 

미사곡을 보다 장엄하게 쓰려다 보니 가사가 더 첨가됩니다.

가사가 원래 전례문보다 길지만 사용된 단어가 모두 전례문 내용에 있는 것들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합당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Sabaoth의 S는 대문자가 옳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노엘 미사곡에는 소문자로 되어 있는데 대문자로 사용해야 바른 표현입니다.

 

그런데 요즘 한국에서 유행되고 있는 소위 새세대들을 위한 미사곡을 보면 전례문에서 허용하지 않고 있는

 단어들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시한번 생각해 봐야 될 것입니다.

 

Sánctus, Sánctus, Sánctus Dóminus Déus Sábaoth.

(쌍투스, 쌍투스, 쌍투스, 도미누스 데우스 사바오스)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온 누리의 주 하느님.

 

* Sabaoth에서 “-th”“-로 표현했지만 영어의 “th”와 같은 발음이 더 정확합니다.

 

Pléni sunt cáeli et térra glória túa.

(쁠레니 쑨트 첼리 엣트 떼라 글로리아 뚜아)

하늘과 땅에 가득찬 그 영광.

 

Hosánna in excélsis.

(호산나 인 엑첼시스)

높은데서 호산나.

 

*excelsis를 “엑첼시스”로 발음하는 것을 들은적이 있습니다.

반드시 “엑첼시스”로 발음되어야 합니다.*

 

Benedíctus qui vénit in nómine Dómini.

(베네딕뚜스 뀌 베닛트 인 노미네 도미니)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찬미받으소서

 

Hosánna in excélsis.

(호산나 인 엑스첼시스)

높은데서 호산나.

 

 

4. AGNUS DEI (하느님의 어린 양)

 

Ágnus Déi, qui tóllis peccáta múndi, miserére nobis.

(아뉴스 데이, 뀌 똘리스 뻭까따 문디, 미세레레 노비스)

하느님의 어린 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반 복)

 

Ágnus Déi, qui tóllis peccáta múndi, dóna nóbis pácem.

(아뉴스 데이, 뀌똘리스 뻭까따 문디, 도나 노비스 빠쳄)

하느님의 어린 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평화를 주소서.

 

마지막으로 노엘 미사곡의 곡 해석을 위한 아주 작은 저의 의견을 밝혀 보려고 합니다.

 

자비송에서, 처음 주제가 베이스에 있습니다. “Kyrie eleison”을 부를 때 중간에 즉 Kyrie 다음에 숨을 쉬고 eleison을 부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Kyrie eleison” 네마디를 숨 쉬지 말고 부르시되 Kyrie“-e”에 사용된 2분음표를 부른 후

그 다음 “e-“ 4분음표로 바로 연결시키지 마시고 약간 끊어진듯한 기분이 들도록 연결시키면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새바위 성지  (0) 2012.09.15
에파타  (0) 2012.09.11
견진성사 The Confirmation  (0) 2012.05.13
성모의 밤 Saint Mary`s Night  (2) 2012.05.01
전국의 성지  (0) 2012.04.11

2012. 5. 13. 천안 성정동 성당 견진성사

천주교대전교구 천안성정동 성당


가장 아름다운 계절 5월 성모성월에


대전교구장 유흥식 나자로 주교님 오시다


환영해준 아이들과 함께 포즈를 취하신 주교님


수녀님의제대 최종 점검


사제의 간절한 기도


세분 사제의 집전


견진성사의 하이라이트 도유의식


성체 축성


영성체


견진을 끝내고 대모님과 함께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파타  (0) 2012.09.11
라틴어미사곡  (0) 2012.08.21
성모의 밤 Saint Mary`s Night  (2) 2012.05.01
전국의 성지  (0) 2012.04.11
주님수난성지주일  (0) 2012.04.01

 

천주교천안성정동성당 '성모의 밤'

 

성모성월이요   제일 좋은 시절

사랑하올 어머니 찬미하오리다

가장 고운 꽃 모아 성전 꾸미오며

기쁜 노래 부르며  나를 드리오리

 

촛불 봉헌

 

 

초와 장미

 

 

복사

 

 



성가대 지휘

 

 


성모님께 드리는 글(주일학교)

 

 


축가(청년부)

 

 



특송(성가대)

 

 

꽃 봉헌

 

 


영성체

 

 


성모 마리아상

 

 


성정동 성당 십자고상

 

 

 

성모의 노래  Magnificat
루카 1, 46 - 55


내 영혼이 주님을 찬송하며
나를 구하신 하느님께 내 마음 기뻐 뛰노나니
당신 종의 비천함을 돌보셨음이로다.

이제로부터 과연 만세가 나를 복되다 일컬으리니
능하신 분이 큰일을 내게 하셨음이요.
그 이름은 "거룩하신 분"이시로다.

그 인자하심은 세세대대로
당신을 두리는 이들에게 미치시리라.

당신 팔의 큰 힘을 떨쳐 보이시어
마음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도다.

권세 있는 자를 자리에서 내치시고
미천한 이를 끌어올리셨도다.

주리는 이를 은혜로 채워 주시고
부요한 자를 빈손으로 보내셨도다.

자비하심을 아니 잊으시어
당신 종 이스라엘을 도우셨으니

이미 아브라함과 그 후손을 위하여
영원히 우리 조상들에게 언약하신 바로다.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틴어미사곡  (0) 2012.08.21
견진성사 The Confirmation  (0) 2012.05.13
전국의 성지  (0) 2012.04.11
주님수난성지주일  (0) 2012.04.01
Caritas Korea  (1) 2012.04.01


서울대교구

당고개 명동대성당 삼성산
새남터 서소문 순교성지 절두산 순교 성지
광주대교구
곡성성당내 감옥터 나주 무학당 순교성지
대구대교구
계산성당 관덕정 복자성당
성 유스티노 신학교 기념관 성모당 신나무골
한티성지
대전교구
갈매못 공세리 성당 배나드리 교우촌
성거산 성지 솔뫼 수리치골
신리 공소 신평 순교자 묘 여사울 성지
지석리 청양 줄무덤과 다락골 합덕성당(대전교구 최초의 성당)
해미(무명순교자 생매장지) 홍주순교성지 황새바위
마산교구
구다두 묘 박빅토리노의 묘 신 마르코 묘
옥포 윤봉문의 묘 허유 고개 정 안토니오 묘
부산교구
김범우 묘 살티, 김영제 묘 언양 성당, 신앙유물전시관
오륜대 한국 순교자 기념관 울산장대 조씨 형제 묘
죽림굴
수원교구
구산성지 남양성모성지 남한산성성지
단내 성가정 성지 미리내 성지 손골성지
수리산 성지 수원 성지 양근 성지
어농성지 은이성지(골배마실) 죽산성지
천진암 성지
안동교구
마원성지 신앙 고백비 여우목 성지
우곡 성지 진안리 성지
원주교구
배론성지 용소막 풍수원
인천교구
강화갑곶돈대 성지 관청리 형방 반주골
진무영 순교성지 현양동산 황사영 생가터
전주교구
나바위성지 전동성당 천호성지
치명자산
제주교구
관덕정 김기량 펠릭스 현양비 대정 성지
용수리 표착순례지 황사평 성지
청주교구
배티성지 연풍성지
춘천교구
강릉 동헌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진성사 The Confirmation  (0) 2012.05.13
성모의 밤 Saint Mary`s Night  (2) 2012.05.01
주님수난성지주일  (0) 2012.04.01
Caritas Korea  (1) 2012.04.01
조선의 며느리 안로길 할머니  (0) 2012.03.13

주님受難聖枝主日


[수난 복음]

    ○ 파스카와 무교절 이틀 전이었다. 수석 사제들과 율법 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속임수를 써서 예수님을 붙잡아 죽일까 궁리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백성이
    소동을 일으킬지 모르니 축제 기간에는 안 된다." 하고 말하였다. 예수님께서
    베타니아 에 있는 나병 환자 시몬의 집에 계실 때의 일이다. 마침 식탁에 앉아
    계시는데, 어떤 여자가 값비싼 순 나르드 향유가 든 옥합을 가지고 와서, 그
    옥합을 깨뜨려 그분 머리에 향유를 부었다. 몇 사람이 불쾌해하며 저희끼리
    말하면서 그 여자를 나무랐다.
    ● "왜 저렇게 향유를 허투루 쓰는가? 저 향유를 삼백 데나리온 이상에 팔아,
    그 돈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줄 수도 있을 터인데."
    ○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 "이 여자를 가만두어라. 왜 괴롭히느냐? 이 여자는 나에게 좋은 일을 하였
    다. 사실 가난한 이들은 늘 너희 곁에 있으니, 너희가 원하기만 하면 언제든지
    그들에게 잘해 줄 수 있다. 그러나 나는 늘 너희 곁에 있지 않을 것이다. 이 여
    자는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였다. 내 장례를 위하여 미리 내 몸에 향유를
    바른 것이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온 세상 어디든지 복음이 선포되
    는 곳마다, 이 여자가 한 일도 전해져서 이 여자를 기억하게 될 것이다."
    ○ 열두 제자 가운데 하나인 유다 이스카리옷이 예수님을 수석 사제들에게 팔
    아넘기려고 그들을 찾아갔다. 그들은 그의 말을 듣고 기뻐하며 그에게 돈을 주
    기로 약속하였다. 그래서 유다는 예수님을 넘길 적당한 기회를 노렸다. 무교절
    첫날 곧 파스카 양을 잡는 날에 제자들이 예수님께 물었다.
    ● "스승님께서 잡수실 파스카 음식을 어디에 가서 차리면 좋겠습니까?"
    ○ 예수님께서 제자 두 사람을 보내며 이르셨다.
    † "도성 안으로 가거라. 그러면 물동이를 메고 가는 남자를 만날 터이니 그를
    따라가거라. 그리고 그가 들어가는 집의 주인에게, '스승님께서 '내가 제자들
    과 함께 파스카 음식을 먹을 내 방이 있느냐?' 하고 물으십니다.' 하여라. 그러
    면 그 사람이 이미 자리를 깔아 준비된 큰 이층 방을 보여 줄 것이다. 거기에다
    차려라."
    ○ 제자들이 떠나 도성 안으로 가서 보니, 예수님께서 일러 주신 그대로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파스카 음식을 차렸다. 저녁때가 되자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그곳으로 가셨다. 그들이 식탁에 앉아 음식을 먹고 있을 때에 예수님께
    서 말씀하셨다.
    †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 가운데 한 사람, 나와 함께 음식을 먹
    고 있는 자가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 그러자 제자들은 근심하며 차례로 묻기 시작하였다.
    ● "저는 아니겠지요?"
    ○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 "그는 열둘 가운데 하나로서 나와 함께 같은 대접에 빵을 적시는 사람이다.
      사람의 아들은 자기에 관하여 성경에 기록된 대로 떠나간다. 그러나 불행하여
      라, 사람의 아들을 팔아넘기는 그 사람! 그 사람은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더라
      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
      ○ 제자들이 음식을 먹고 있을 때에 예수님께서 빵을 들고 찬미를 드리신 다음,
      그것을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다.
        † "받아라. 이는 내 몸이다."
        ○ 또 잔을 들어 감사를 드리신 다음 제자들에게 주시니, 모두 그것을 마셨다.
        그때에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 "이는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내 계약의 피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
        한다. 내가 하느님 나라에서 새 포도주를 마실 그날까지, 포도나무 열매로 빚
        은 것은 결코 다시는 마시지 않겠다."
        ○ 제자들은 찬미가를 부르고 나서 올리브 산으로 갔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 "너희는 모두 떨어져 나갈 것이다. 성경에 '내가 목자를 치리니, 양들이 흩
        어지리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나는 되살아나서 너희보다 먼저 갈릴래아
        로 갈 것이다."
        ○ 베드로가 예수님께 말하였다.
        ● "모두 떨어져 나갈지라도 저는 그러지 않을 것입니다."
        ○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말씀하셨다.
        † "내가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오늘 이 밤, 닭이 두 번 울기 전에 너는 세 번이
        나 나를 모른다고 할 것이다."
        ○ 베드로가 더욱 힘주어 장담하였다.
        ● "스승님과 함께 죽는 한이 있더라도, 저는 결코 스승님을 모른다고 하지 않
        겠습니다.
        ○ 다른 제자들도 모두 그렇게 말하였다. 그들은 겟세마니라는 곳으로 갔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 "내가 기도하는 동안 너희는 여기에 앉아 있어라."
          ○ 그런 다음 예수님께서는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데리고 가셨다. 그분께
          서는 공포와 번민에 휩싸이기 시작하셨다. 그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 "내 마음이 너무 괴로워 죽을 지경이다. 너희는 여기에 남아서 깨어 있어라."
          ○ 예수님께서는 앞으로 조금 나아가 땅에 엎드리시어, 하실 수만 있으면 그 시
          간이 당신을 비켜 가게 해 주십사고 기도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 "아빠!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무엇이든 하실 수 있으시니, 이 잔을 저에게서
          거두어 주십시오. 그러나 제가 원하는 것을 하지 마시고 아버지께서 원하시는
          것을 하십시오."
          ○ 예수님께서 돌아와 보시니 제자들은 자고 있었다. 그래서 베드로에게 말씀
          하셨다.
          † "시몬아, 자고 있느냐? 한 시간도 깨어 있을 수 없더란 말이냐? 너희는 유혹
          에 빠지지 않도록 깨어 기도하여라. 마음은 간절하나 몸이 따르지 못한다."
          ○ 예수님께서 다시 가셔서 같은 말씀으로 기도하셨다. 그리고 다시 와 보니 제
          자들은 여전히 눈이 무겁게 내려감겨 자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예수님께 무
          슨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몰랐다. 예수님께서는 세 번째 오셔서 제자들에게 말씀
          하셨다.
          † "아직도 자고 있느냐? 아직도 쉬고 있느냐? 이제 되었다. 시간이 되어 사람
          의 아들은 죄인들의 손에 넘어간다. 일어나 가자. 보라, 나를 팔아넘길 자가
          가까이 왔다."
            ○ 그러자 곧, 예수님께서 아직 말씀하고 계실 때에 열두 제자 가운데 하나인
            유다가 다가왔다. 그와 함께 수석 사제들과 율법 학자들과 원로들이 보낸 무리
            도 칼과 몽둥이를 들고 왔다. 그분을 팔아넘길 자는, "내가 입 맞추는 이가 바
            로 그 사람이니 그를 붙잡아 잘 끌고 가시오." 하고 그들에게 미리 신호를 일러
            두었다. 그가 와서는 곧바로 예수님께 다가가 말하였다.
            ● "스승님!"
            ○ 그러고 나서 입을 맞추었다. 그러자 그들이 예수님께 손을 대어 그분을 붙
            잡았다. 그때 곁에 서 있던 이들 가운데 한 사람이 칼을 빼어, 대사제의 종을
            내리쳐 그의 귀를 잘라 버렸다. 예수님께서 나서시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 "너희는 강도라도 잡을 듯이 칼과 몽둥이를 들고 나를 잡으러 나왔단 말이
            냐? 내가 날마다 너희와 함께 성전에 있으면서 가르쳤지만 너희는 나를 붙잡
            지 않았다. 성경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이리된 것이다."
            ○ 제자들은 모두 예수님을 버리고 달아났다. 어떤 젊은이가 알몸에 아마포만
            두른 채 그분을 따라갔다. 사람들이 그를 붙잡자, 그는 아마포를 버리고 알몸
            으로 달아났다. 그들은 예수님을 대사제에게 끌고 갔다. 그러자 수석 사제들
            과 원로들과 율법 학자들이 모두 모여 왔다. 베드로는 멀찍이 떨어져서 예수
            님을 뒤따라 대사제의 저택 안뜰까지 들어가, 시종들과 함께 앉아 불을 쬐고
            있었다. 수석 사제들과 온 최고 의회는 예수님을 사형에 처하려고 그분에 대
            한 증언을 찾았으나 찾아내지 못하였다. 사실 많은 사람이 그분께 불리한 거
            짓 증언을 하였지만, 그 증언들이 서로 들어맞지 않았던 것이다. 더러는 나서
            서 이렇게 거짓 증언을 하기도 하였다.
            ● "우리는 저자가, '나는 사람 손으로 지은 이 성전을 허물고, 손으로 짓지 않
            는 다른 성전을 사흘 안에 세우겠다.'고 말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 그들의 증언도 서로 들어맞지 않았다. 그러자 대사제가 한 가운데로 나서서
            예수님께 물었다.
            ● "당신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소? 이자들이 당신에게 불리한 증언을 하는데
            어찌 된 일이오?"
            ○ 예수님께서는 입을 다무신 채 아무 대답도 하지 않으셨다. 대사제는 다시
            물었다.
            ● "당신이 찬양받으실 분의 아들 메시아요?"
            ○ 예수님께서 대답하셨다.
            † "그렇다. '너희는 사람의 아들이, 전능하신 분의 오른쪽에 앉아 있는 것과,
            하늘의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볼 것이다.'"
            ○ 대사제가 자기 옷을 찢고 이렇게 말하였다.
            ● "이제 우리에게 무슨 증인이 더 필요합니까? 여러분도 하느님을 모독하는
            말을 듣지 않았습니까? 여러분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 그들은 모두 예수님께서 사형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단죄하였다. 어떤 자들
            은 예수님께 침을 뱉고 그분의 얼굴을 가린 다음, 주먹으로 치면서 놀려 대기
            시작하였다.
            ● "알아맞혀 보아라."
            ○ 시종들도 예수님의 뺨을 때렸다. 베드로가 안뜰 아래쪽에 있는데 대사제의
            하녀 하나가 와서, 불을 쬐고 있는 베드로를 보고 그를 찬찬히 살피면서 말하
            였다.
            ● "당신도 저 나자렛 사람 예수와 함께 있던 사람이지요?"
            ○ 베드로는 부인하였다.
            ● "나는 당신이 무슨 말을 하는지 알지도 이해하지도 못하겠소."
            ○ 베드로가 바깥뜰로 나가자 닭이 울었다. 그 하녀가 베드로를 보면서 곁에 서
            있는 이들에게 다시 말하기 시작하였다.
            ● "이 사람은 그들과 한패예요."
              ○ 베드로는 또 부인하였다. 그런데 조금 뒤에 곁에 서 있던 이들이 다시 베드
              로 에게 말하였다.
              ● "당신은 갈릴래아 사람이니 그들과 한패임에 틀림없소."
              ○ 베드로는 거짓이면 천벌을 받겠다고 맹세하기 시작하며 말하였다.
              ● "나는 당신들이 말하는 그 사람을 알지 못하오."
              ○ 곧 닭이 두 번째 울었다. 베드로는 예수님께서, "닭이 두 번 울기 전에 너는
              세 번이나 나를 모른다고 할 것이다." 하신 말씀이 생각나서 울기 시작하였다.
              아침이 되자 수석 사제들은 곧바로 원로들과 율법 학자들, 곧 온 최고 의회와
              의논한 끝에, 예수님을 결박하여 끌고 가서 빌라도에게 넘겼다. 빌라도가 예
              수님께 물었다.
              ● "당신이 유다인들의 임금이오?"
              ○ 예수님께서 대답하셨다.
              † "네가 그렇게 말하고 있다."
              ○ 그러자 수석 사제들이 여러 가지로 예수님을 고소하였다. 빌라도가 다시 예
              수님께 물었다.
              ● "당신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소? 보시오, 저들이 당신을 갖가지로 고소하고
              있지 않소?"
                ○ 예수님께서는 더 이상 아무 대답도 하지 않으셨다. 그래서 빌라도는 이상하
                게 여겼다. 빌라도는 축제 때마다 사람들이 요구하는 죄수 하나를 풀어 주곤 하
                였다. 마침 바라빠라고 하는 사람이 반란 때에 살인을 저지른 반란군들과 함
                께 감옥에 있었다. 그래서 군중은 올라가 자기들에게 해 오던 대로 해 달라고
                요청하기 시작하였다. 빌라도가 그들에게 물었다.
                ● "유다인들의 임금을 풀어 주기를 바라는 것이오?"
                ○ 빌라도는 수석 사제들이 예수님을 시기하여 자기에게 넘겼음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수석 사제들은 군중을 부추겨 그분이 아니라 바라빠를 풀어 달
                라고 청하게 하였다. 빌라도가 다시 물었다.
                  ● "그러면 여러분이 유다인들의 임금이라고 부르는 이 사람은 어떻게 하기를
                  바라는 것이오?"
                  ○ 그러자 유다인들은 거듭 소리 질렀다.
                  ◎"십자가에 못 박으시오!"
                  ○ 빌라도가 그들에게 물었다.
                  ● "도대체 그가 무슨 나쁜 짓을 하였다는 말이오?"
                  ○ 유다인들은 더욱 큰 소리로 외쳤다.
                  ◎"십자가에 못 박으시오!"
                  ○ 그리하여 빌라도는 군중을 만족시키려고, 바라빠를 풀어 주고 예수님을 채
                  찍질하게 한 다음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넘겨주었다. 군사들은 예수님을 뜰 안
                  으로 끌고 갔다. 그곳은 총독 관저였다. 그들은 온 부대를 집합시킨 다음, 그
                  분께 자주색 옷을 입히고 가시관을 엮어 머리에 씌우고서는, 이렇게 말하며 인
                  사하기 시작하였다.
                  ◎"유다인들의 임금님, 만세!"
                  ○ 또 갈대로 그분의 머리를 때리고 침을 뱉고서는, 무릎을 꿇고 엎드려 예수님
                  께 절하였다. 그렇게 예수님을 조롱하고 나서 자주색 옷을 벗기고 그분의 겉옷
                  을 입혔다. 그리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러 끌고 나갔다. 그들은 지나가
                  는 어떤 사람에게 강제로 예수님의 십자가를 지게 하였다. 그는 키레네 사람
                  시몬으로서 알렉산드로스와 루포스의 아버지였는데, 시골에서 올라오는 길이
                  었다. 그들은 예수님을 골고타라는 곳으로 데리고 갔다. 이는 번역하면 '해골
                  터'라는 뜻이다. 그들이 몰약을 탄 포도주를 예수님께 건넸지만 그분께서는 받
                  지 않으셨다. 그들은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 그러고 나서, 그분의 겉옷
                  을 나누어 가졌는데, 누가 무엇을 차지할지 제비를 뽑아 결정하였다. 그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때는 아침 아홉 시였다. 그분의 죄명 패에는 '유다
                  인들의 임금'이라고 쓰여 있었다. 그들은 예수님과 함께 강도 둘을 십자가에
                  못 박았는데, 하나는 오른쪽에 다른 하나는 왼쪽에 못 박았다. 지나가는 자들
                  이 머리를 흔들며 그분을 이렇게 모독하였다.
                  ● "저런! 성전을 허물고 사흘 안에 다시 짓겠다더니. 십자가에서 내려와 너 자
                  신이나 구해 보아라."
                  ○ 수석 사제들도 이런 식으로 율법 학자들과 함께 조롱하며 서로 말하였다.
                  ● "다은 이들은 구원하였으면서 자신은 구원하지 못하는군. 우리가 보고 믿게
                  이스라엘의 임금 메시아는 지금 십자가에서 내려와 보시지."
                  ○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자들도 그분께 비아냥거렸다. 낮 열두 시
                  가 되자 어둠이 온 땅에 덮여 오후 세 시까지 계속되었다. 오후 세 시에 예수님
                  께서 큰 소리로 부르짖으셨다.
                    † "엘로이 엘로이 레마 사박타니?"
                    ○ 이는 번역하면, '저의 하느님, 저의 하느님,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
                    라는 뜻이다. 곁에 서 있던 자들 가운데 몇이 이 말씀을 듣고 말하였다.
                    ● "저것 봐! 엘리야를 부르네."
                    ○ 그러자 어떤 사람이 달려가서 해면을 신 포도주에 적신 다음, 갈대에 꽂아
                    예수님께 마시라고 갖다 대며 말하였다.
                    ● "자, 엘리야가 와서 그를 내려 주나 봅시다."
                    ○ 예수님께서는 큰 소리를 지르시고 숨을 거두셨다.
                      <무릎을 꿇고 잠시 묵상>
                        ○ 그때에 성전 휘장이 위에서 아래까지 두 갈래로 찢어졌다. 그리고 예수님을
                        마주 보고 서 있던 백인대장이 그분께서 그렇게 숨을 거두시는 것을 보고 말하
                        였다.
                        ● "참으로 이 사람은 하느님의 아드님이셨다."
                          ○ 여자들도 멀리서 지켜보고 있었는데, 그들 가운데에는 마리아 막달레나, 작
                          은 야고보와 요세의 어머니 마리아, 그리고 살로메가 있었다. 그들은 예수님
                          께서 갈릴래아에 계실 때에 그분을 따르며 시중들던 여자들이었다. 그 밖에도
                          예수님과 함께 예루살렘에 올라온 다른 여자들도 많이 있었다. 이미 저녁때가
                          되어 있었다. 그날은 준비일 곧 안식일 전날이었으므로, 아리마태아 출신 요
                          셉이 빌라도에게 당당히 들어가, 예수님의 시신을 내 달라고 청하였다. 그는
                          명망있는 의회 의원으로서 하느님의 나라를 열심히 기다리던 사람이었다. 빌
                          라도는 예수님께서 벌써 돌아가셨을까 의아하게 생각하여, 백인대장을 불러
                          예수님께서 돌아기신 지 오래 되었느냐고 물었다. 빌라도는 백인대장에게 알
                          아보고 나서 요셉에게 시신을 내주었다. 요셉은 아마포를 사가지고 와서, 그
                          분의 시신을 내려 아마포로 싼 다음 바위를 깎아 만든 무덤에 모시고, 무덤 입
                          구에 돌을 굴려 막아 놓았다. 마리아 막달레나와 요세의 어머니 마리아는 그
                          분을 어디에 모시는지 지켜보고 있었다.(마르 14,1-15,47)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모의 밤 Saint Mary`s Night  (2) 2012.05.01
                                                                                    전국의 성지  (0) 2012.04.11
                                                                                    Caritas Korea  (1) 2012.04.01
                                                                                    조선의 며느리 안로길 할머니  (0) 2012.03.13
                                                                                    [토빗] 이야기  (2) 2012.03.13

                                                                                    최악의 가뭄과 식량 위기

                                                                                    동아프리카에 도움의 손길을

                                                                                    [02-2279-9204]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의 성지  (0) 2012.04.11
                                                                                    주님수난성지주일  (0) 2012.04.01
                                                                                    조선의 며느리 안로길 할머니  (0) 2012.03.13
                                                                                    [토빗] 이야기  (2) 2012.03.13
                                                                                    칠곡 가실성당 십자가의 길  (2) 2011.10.28

                                                                                    좌우 이념대립이 극심했던 1950년대 중국 땅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안 의사를 추모하다 반혁명 분자로 몰려 40년간 옥살이해야 했던 안중근 의사의 5촌 조카며느리가 하얼빈에 생존해 있다. 헤이룽장(黑龍江)성 하얼빈(哈爾濱)시 난강(南崗)구 안산가(鞍山街)에 살고 있는 올해 98살의 안로길 할머니. 그녀의 삶은 굴곡진 우리의 근대사만큼이나 기구하고도 파란만장했다. 세월은 흘러 새로운 시대를 살고 있지만 그는 우리 한민족의 영원한 '조선의 며느리'로 기억될 것이다. 안로길 할머니는 최선옥(73.전 서울 송모자애병원 원장) 수녀의 도움으로 이곳 안산가의 아파트에 방 한칸을 얻어 수녀님과 함께 생활하고 있다.

                                                                                    40년 옥살이.. 기구한 안중근 조카며느리

                                                                                    한반도 수탈의 수장이었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한 ‘하얼빈 의거’ 100주년을 맞아 안중근 의사에 대한 추모 열기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좌우 이념대립이 극심했던 1950년대 중국 땅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안 의사를 추모하다 반혁명 분자로 몰려 40년간 옥살이해야 했던 안 의사의 5촌 조카며느리가 하얼빈에 생존해 있다.

                                                                                    헤이룽장(黑龍江)성 하얼빈(哈爾濱)시 난강(南崗)구 안산(安山)가에 살고 있는 올해 97살의 안로길 할머니.

                                                                                    그녀의 삶은 굴곡진 우리의 근대사만큼이나 기구하고도 파란만장했다.
                                                                                    17살 나던 해 안 의사의 사촌동생인 홍근(洪根)씨의 3남 무생(武生)씨와 결혼한 안 할머니는 결혼 14년만인 1944년 일제의 앞잡이들에 의해 남편이 사망하면서 일제에 대한 적개심이 극에 달했다.

                                                                                    당시 2천여명의 신자들이 모여살던 북만주 최대 한인 천주교 마을이었던 헤이룽장성 하이룬현 하이베이전 쉬안무촌에서 생활했던 독실한 천주교 신자이자 안 의사 가문의 며느리라는데 자긍심을 갖고 있던 안 할머니는 이때부터 원래 차(車)씨였던 성을 안(安)씨로 바꾸고 안 의사의 독립활동을 알리는 한편 입버릇처럼 ‘대한독립’을 외쳤다.
                                                                                    남편이 사망한 뒤 하얼빈으로 이주한 안 할머니는 일본이 물러간 뒤에도 바느질 삯으로 겨우 끼니를 연명하며 안 의사의 공적을 세상에 알리는 일을 중단하지 않았다. 손수 태극기를 만들어 집에 걸어놓고 독립군을 상징하는 군복에 별을 새긴 모자를 쓰고 다니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선 뒤 좌우 이념 대립이 극심했던 1950년대 냉전체제하에서 중국 공산당의 사상 탄압이 거셀수록 안 의사를 기리는 안 할머니의 저항은 더욱 거세졌다.

                                                                                    이적 행위 단속과 종교 탄압이 거세게 몰아치던 1958년 안 할머니는 하얼빈역 광장과 하얼빈 다오리(道理)구 공안분국 앞에서 태극기와 안 의사 초상화를 앞세우고 안 의사 공적 인정과 종교의 자유 등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벌였다.

                                                                                    당시 적대국이었던 대한민국의 국기를 흔들며 시위를 벌인 안 할머니의 행위는 당시 중국에서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중대한 정치적 범죄 행위였다. 결국 안 할머니는 1958년 1월 긴급체포돼 반혁명죄로 무기형을 선고받아 옥살이를 하게 됐다.
                                                                                    차가운 감옥이나 서슬퍼런 중국 당국의 탄압도 안 할머니를 막지는 못했다. 치마 실오라기를 풀어 태극기를 직접 만들어 감옥에 걸어놓고,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독립군복과 모자를 만들어 입고 쓰기를 고집했다.
                                                                                    갖은 회유와 압박에도 안 할머니의 의지를 꺾을 수 없었던 중국 감옥 측은 결국 ‘정신병자’쯤으로 취급, 안 할머니를 단속하는 일을 포기했다.
                                                                                    그러나 개조 불능의 불순분자로 낙인 찍힌 안 할머니는 1972년 네이멍구(內蒙古)의 오지 전라이 노동교화 감옥농장에 넘겨져 6년간 강제노역에 시달려야 했다.

                                                                                    1978년 이 감옥농장에서 풀려났지만 안 할머니는 자유의 몸이 될 수 없었다. 사회 진출을 막고 계속 감옥농장에서 일하도록 함으로써 절반의 자유만 허용됐던 것.

                                                                                    중국 내 개혁개방 바람이 불고 한국과의 수교가 이뤄진 뒤에 안 할머니는 1998년 9월에야 비로소 완전한 자유를 얻을 수 있었다. 그녀의 나이 86살 때의 일로 반평생 가까운 세월을 옥중에서 보낸 뒤였다.
                                                                                    하얼빈으로 돌아오긴 했지만 그녀를 반겨줄 곳도, 그녀를 뒷바라지해줄 일가친척도 찾을 수 없었다.
                                                                                    우연히 안 할머니의 딱한 사연을 알게 된 최선옥(72.전 서울 송모자애병원 원장) 수녀의 도움으로 그녀의 아파트에 방 한칸을 얻어 함께 생활하고서야 안 할머니는 비로소 안식처를 찾을 수 있었다.
                                                                                    그나마 강제 노역을 시켰던 전라이 감옥농장에서 뒤늦게 매달 지급하고 있는 200 위안(3만7천 원)의 보조비가 생활을 지탱시키는 버팀목이 되고 있다.

                                                                                    그녀는 여전히 중국 인이기를 거부하고 있다. 북한과 중국간 협정에 따라 재중 동포들에게 중국 국적을 부여할 때 호구를 찢어 버리기도 했던 안 할머니는 호구에 올리는 이름으로 천주교 세례명을 고집하며 본명을 밝히지 않았다. 중국 당국은 하는 수 없이 ‘안누시아’로 불리던 그녀의 세례명을 중국어로 음역해 ‘안로길’이라는 이름을 지어 일방적으로 호구에 올렸다.

                                                                                    뒤늦게 그녀의 출옥 사실을 알게 된 친척들은 한국 당국이 관심을 가져 주길 바라고 있다. 반평생의 옥살이를 마다하지 않았던 그녀를 독립유공자 후손으로 인정, 조국의 따뜻한 품을 느낄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다.

                                                                                    안 할머니의 시 조카인 정덕재(71.랴오닝성 선양 거주)씨는 “100살을 앞두고 있는 외숙모가 지금 뭘 더 바라겠느냐”며 “평생을 바쳐 갈구했던 조국이 나서는 모습만 보여줘도 반평생 얽힌 그녀의 응어리를 풀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님수난성지주일  (0) 2012.04.01
                                                                                    Caritas Korea  (1) 2012.04.01
                                                                                    [토빗] 이야기  (2) 2012.03.13
                                                                                    칠곡 가실성당 십자가의 길  (2) 2011.10.28
                                                                                    빛과 어둠  (1) 2011.10.28

                                                                                    인장처럼 나를 당신의 가슴에,

                                                                                    인장처럼 나를 당신의 팔에 지니셔요(아가8,6)

                                                                                    나는 당신께

                                                                                    나를 드린다고 서약합니다

                                                                                    나의 모든 것을

                                                                                    당신께 드립니다

                                                                                    온전히

                                                                                    무조건

                                                                                    여기 그리고 지금

                                                                                    어떤 조건도 없이

                                                                                    나는 나를 온전히 드립니다

                                                                                    어떤 것도 남김 없이

                                                                                    어떤 확실한 보장 없이

                                                                                    물러설 핑곗거리 두지 않고

                                                                                    나는 나를 당신께 드립니다

                                                                                    나의 존재와

                                                                                    나의 길과

                                                                                    나의 성장을 함께

                                                                                    나는 당신께 나를 드린다고 서약합니다

                                                                                    내 신의와

                                                                                    내 생기와

                                                                                    그리고 내가 알지 못하는 내 안의 모든 것을 함께

                                                                                    당신은 나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아직 구원되지 않아

                                                                                    해방을 기다리는 내 안의

                                                                                    모든 것까지 함께

                                                                                    나는 당신께

                                                                                    약속합니다

                                                                                    지금 현재의 내 자신 안에

                                                                                    머무르지 않겠다고

                                                                                    나는 당신께 약속합니다

                                                                                    내가 그렇게 되어야 할

                                                                                    그런 사람이 되고자

                                                                                    모든 것을 행하겠다고

                                                                                    그리고 이 길을

                                                                                    걸어가야겠다고 약속합니다

                                                                                    충실히

                                                                                    당신을 향해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ritas Korea  (1) 2012.04.01
                                                                                    조선의 며느리 안로길 할머니  (0) 2012.03.13
                                                                                    칠곡 가실성당 십자가의 길  (2) 2011.10.28
                                                                                    빛과 어둠  (1) 2011.10.28
                                                                                    이태석 [당신의 이름은 사랑]  (0) 2011.09.28

                                                                                     

                                                                                    낙동강변의 가장 아름다운 [佳室聖堂]

                                                                                    성미술 작가 손석기가 그린 십자가의 길

                                                                                     

                                                                                    십자가의 길1 - 사형선고

                                                                                    제 1 처 예수님께서 사형선고 받으심을 묵상합시다.(마태 27,22-26)


                                                                                    십자가의 길2 - 십자가 지심

                                                                                    제 2 처 예수님께서 십자가 지심을 묵상합시다.(요한 19,16-17 )


                                                                                    십자가의 길3 - 넘어지심1

                                                                                    제 3 처 예수님께서 첫 번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십자가의 길4 - 성모님 해후

                                                                                    제 4 처 예수님께서 성모님과 만나심을 묵상합시다.


                                                                                    십자가의 길5 - 시몬의 도움

                                                                                    제 5 처 키레네 사람 시몬이 대신 십자가를 짐을 묵상합시다.(마태 27,32)


                                                                                    십자가의 길6 - 베로니카의 수건

                                                                                    제 6 처 베로니카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드림을 묵상합시다.


                                                                                    십자가의 길7 - 넘어지심2

                                                                                    제 7 처 기력이 다하신 예수님께서 두 번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십자가의 길8 - 부인들

                                                                                    제 8 처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부인들을 위로하심을 묵상합시다.(루가 23,28-31)


                                                                                    십자가의 길9 - 넘어지심3

                                                                                    제 9 처 예수님께서 세 번째 넘어지심을 묵상합시다.


                                                                                    십자가의 길10 - 옷 벗기심

                                                                                    제 10 처 예수님께서 옷 벗김을 당하심을 묵상합시다.(요한 19,23-24)


                                                                                    십자가의 길11 - 못박히심

                                                                                    제 11 처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심을 묵상합시다.(요한 19,18)


                                                                                    십자가의 길12 - 돌아가심

                                                                                    제 12 처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을 묵상합시다.(마태 27,50)


                                                                                    십자가의 길13 - 십자가에서 내려짐

                                                                                    제 13 처 제자들이 예수님 시신을 십자가에서 내림을 묵상합시다.


                                                                                    십자가의 길14 - 묻히심

                                                                                    제 14 처 예수님께서 무덤에 묻히심을 묵상합시다.(마태 27,58-60)






                                                                                    경북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

                                                                                    가실성당은 1895년 창립된 경상도 지역 초기 천주교회이다(‘대구의 사도 김보록 로베르 신부 서한집’에 따름). 조선 후기 천주교도에 대한 박해가 끝난 뒤, 경상도 지역에는 천주교 신자들의 활동이 활발하여 김보록 로베르 신부와 그의 보좌인 보두네 신부, 조죠 신부 등이 경북 칠곡군 지천면 연화리 신나무골을 중심으로 전교활동을 펼쳤다.
                                                                                    1894년 입국한 파이아스 신부는 그 뒤를 이어 경상도 북부 지역을 맡아 전교활동을 벌이다가 왜관읍 낙산동 가실로 이주하여 성당을 건립했다. 바로 가실성당이다.
                                                                                    1990년 설립 100주년 기념관을 설립하였고, 소재지는 경북 칠곡군 왜관읍 낙산 1리 614번지이다.

                                                                                    유서깊고 아름다운 성당

                                                                                    영화 ‘신부 수업’이 촬영되기도 한 가실성당과 구 사제관은
                                                                                    1923년 프랑스인 프와넬(박 도행) 신부가 설계하고, 두르뇌(여동선) 신부가 건립하였다. 멀리 성당 마당에서 낙동강이 다 내려다 보이는 전망을 지닌 유서깊고 아름다운 성당이다.
                                                                                    경상북도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 건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근대 건축사와 교회 사적으로 가치가 크다. 성당은 지상 1층, 지하 1층의 붉은 색 및 회색 벽돌조로 웅장한 신 로마네스크 건축이며, 정면 중앙부에 종탑을 둔 형태로 내부의 천정은 목재로 틀을 만들고, 회 반죽을 바른 원통형이며 바닥은 마루를 깔았으나 최근에 온돌마루를 설치하였다.
                                                                                    성당 뒤쪽의 구 사제관은 건평 30평이 채 못되는 단층 건물로 평면은 장방형이며, 중앙의 현관 홀을 중심으로 계단실, 교리실, 창고, 집무실, 침실을 배치하고 현관 홀에서 통하는 지하에는 포도주 저장실이 있다.
                                                                                    가실성당 마당에 성 순교 가문 신앙유적비가 있다.


                                                                                    ◎ 소재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낙산 1리 614
                                                                                    ◎ 연락처 : 천주교 대구대교구 가실성당 (054) 976-1102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며느리 안로길 할머니  (0) 2012.03.13
                                                                                    [토빗] 이야기  (2) 2012.03.13
                                                                                    빛과 어둠  (1) 2011.10.28
                                                                                    이태석 [당신의 이름은 사랑]  (0) 2011.09.28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3) 2011.08.21


                                                                                    <요한 1서>

                                                                                    1 처음부터 있어 온 것

                                                                                    우리가 들은 것

                                                                                    우리 눈으로 본 것

                                                                                    우리가 살펴보고 우리 손으로 만져 본 것,

                                                                                    이 생명의 말씀에 관하여 말하고자 합니다.

                                                                                    2 그 생명이 나타나셨습니다.

                                                                                    우리가 그 생명을 보고 증언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에게 그 영원한 생명을 선포합니다.

                                                                                    영원한 생명은 아버지와 함께 계시다가

                                                                                    우리에게 나타나셨습니다.

                                                                                    5 우리가 그분에게서 듣고 이제 여러분에게 전하는 말씀은 이것입니다.

                                                                                    곧 하느님은 빛이시며 그분께는 어둠이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6 만일 우리가 하느님과 친교를 나눈다고 말하면서 어둠 속에서 살아간다면,

                                                                                    우리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고 진리를 실천하지 않는 것입니다.

                                                                                    7 그러나 그분께서 빛 속에 계신 것처럼 우리도 빛 속에서 살아가면,

                                                                                    우리는 서로 친교를 나누게 되고, 그분의 아드님이신 예수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하게 해 줍니다.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빗] 이야기  (2) 2012.03.13
                                                                                    칠곡 가실성당 십자가의 길  (2) 2011.10.28
                                                                                    이태석 [당신의 이름은 사랑]  (0) 2011.09.28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3) 2011.08.21
                                                                                    어느 신앙고백 9  (0) 2011.08.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