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이 청년시절 일본에서 종교학을 전공하고서 평생을 다하여 구도의 길을 걸었던 시인 구상 세례자 요한(1920~2004)은 '진정한 답은 하나'라고 고백했다. 그의 '나는 알고 또한 믿고 있다'는 제목의 시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확신을 읽게 된다.
이 밑도 끝도 없는
욕망과 갈증의 수렁에서
빠져나올 수 없음을
나는 알고 있다.
이 밑도 끝도 없는
고뇌와 고통의 멍에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나는 알고 있다.
이 밑도 끝도 없는
불안과 허망의 잔을
피할 수 없음을
나는 알고 있다.
그러나 나는 또한 믿고 있다.
이 욕망과 고통과 허망 속에
인간 구원의 신령한 손길이
감추어져 있음을,
그리고 내가 그 어느 날
그 꿈의 동산 속에 들어
영원한 안식을 누릴 것을
나는 또한 믿고 있다.
이 짧은 시에는 가톨릭 신앙의 핵심이 실려 있다.
시인은 먼저 자신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고백한다. 시인이 알고 있는 것은 어찌할 수 없는 인간의 한계(限界)이다. 아무리 발버둥쳐도 벗어날 수 없는 굴레를 시인은 인간이 처한 현실로서 인정한다. 자신 안에 도사리고 있는 욕망, 갈증, 고뇌, 고통, 불안, 허망 등을 인간 스스로는 벗어날 수 없다는 한계가 바로 인간 현실이라는 사실을 시인은 수긍한다.
사실, 시인은 종교학을 전공하던 시절부터 한평생 진지한 구도자로서 인간의 자력구원 가능성을 탐색해 왔다. 만년에 가서 그는 결론에 도달했다. 스스로는 저 굴레에서 '빠져나올 수'도 '벗어날 수'도 '피할 수'도 없음을 뼈저리게 절감하였다. 그리스도교는 이 피할 수 없는 한계가 바로 원죄(原罪)의 소산이라고 가르친다. 이 점을 시인은 분명히 '알고' 있었다.
시인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시인은 자력구원 한계에 대한 '앎'을 넘어서 이제 자신의 '믿음'을 고백한다. 시인은 굳게 믿었다. 바로 저 피할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간 구원의 신령한 손길'이 있다는 것을 시인은 믿었다. 시인은 인간을 구원으로 이끌어주는 것은 절대자 하느님에게서 오는 '신령한 손길'밖에 없음을 통감하고 이를 '믿을' 수 있었던 것이다.
시인이 고백했던 믿음을 우리도 고백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은 유한한 존재이기에 스스로 '구원'에 이를 수 없음을 깨달을 수 있어야 한다. 우리를 구원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하느님 자비와 용서, 은총이라는 사실을 수긍할 수 있어야 한다. 하느님을 믿을 일이다. 요즘 시중에 상품화되어 나도는 온갖 영적 불량품에 현혹되지 말고 오직 하느님을 찾을 일이다. 사람이 되시어 "길이요 진리요 생명"(요한 14,6)이심을 입증하셨던 그분만을 따를 일이다.
'CAT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이야기 - 예수 그리스도 (0) | 2005.07.16 |
---|---|
차동엽 신부의 가톨릭이야기 - 전능하신 하느님 맞아? (1) | 2005.07.16 |
차동엽신부의 가톨릭이야기 - 사랑 품고 하느님께로 떠나라 (1) | 2005.07.16 |
당신은 나의 생명 (0) | 2005.07.16 |
탈무드 이야기 (0) | 200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