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변조선족자치정부 청사 정문]



[연변대학 정문]

연변조선족자치주 []

중국 지린성[] 동부에 있는 자치주.
위치중국 지린성 동부
면적4만 3547㎢
인구219만 5000명(1998)

주도()는 옌지시[]이다. 조선 말기부터 한국인이 이주하여 개척한 곳으로 이전에는 북간도라고 불렀다. 1952년 9월 3일에 자치구가 설립되고, 1955년 12월에 자치주로 승격되었다.

옌지[]·투먼[]·둔화[]·허룽[]·룽징[]·훈춘[]의 6개 시와 왕칭[]·안투[] 2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11개 민족이 거주하고 있는데 그 중
조선족이 41%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한족(만주족(滿후이족[]의 순이다.

지린성 동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헤이룽장성[]과 접한다. 창바이산맥[]과 라오예링산맥[] 경내로 뻗어 있고, 그 사이에 옌지분지가 펼쳐진다. 이 때문에 해발고도 500∼1,000m 지점이 많다. 이 산지에서 흘러 나오는 하천은 둥베이수계[]의 근원이 된다.

주요 하천으로는 투먼강·
쑹화강[]·무단강[쑤이펀강[] 등이 있다. 투먼강 유역에 있는 중국의 국제개발지인 훈춘경제개발지를 ‘동북아 금삼각주()’라고 부른다.

기후는 대륙성 기후이나 변화가 잦고, 강수량은 산지가 많기 때문에 하천의 수량이 풍부하다. 연평균기온 2∼6℃, 1월
평균기온 -14.1℃, 7월 평균기온 21.6℃, 연평균강수량은 500∼700mm이다. 농업은 주로 곡저평지()에서 이루어지며, 쌀·콩·조 등의 곡물을 생산한다. 특히 벼농사는 한국인이 이주한 뒤에 발달하였으며, 90년의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또 잎담배는 지린성 생산량의 대부분을 생산하며, 그밖에 특산물인 인삼과 과일도 많이 난다.

산지에는 삼림이 우거져 중국의 중요한 임업지대를 이룬다. 투먼·둔화·다스터우[]에 3대 제재소가 있으며, 그밖의 여러 곳에서
목재공업이 이루어진다. 또 이 목재를 원료로 하는 제지공장이 투먼·스옌[]·카이산툰[] 등에 산재한다.

동부에는 각종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으며, 그 중 허룽과 훈춘의 석탄, 왕칭의
오일셰일(유혈암), 톈바오산[]의 구리·납, 훈춘의 금 채굴이 손꼽힌다. 공업으로는 농업기계·철강·정유·전자 분야의 발전이 두드러지며, 공장은 옌지 등의 시 지역에 분포한다.

교통은 창춘[]·지린·투먼을 잇는 창투철도[]가 지역안을 동서로 가로지르고, 옌지에서 허룽과 카이산툰으로 지선()이 분기한다. 또 투먼에서 무단강과
함경북도 온성()으로 통하는 무투철도[]가 갈라진다. 도로는 철도를 따라 뻗어 있는데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로가 발달하였다. 항공편으로는 옌지공항이 있는데, 국내선으로는 베이징·창춘·선양까지 운항하고, 국제선으로는 한국 부산까지 운항한다.

일제강점기에 이곳은 독립운동의 근거지였으므로 청산리항일전승지()·봉오동()항일전승지·일송정() 등 유적지가 많다. 그밖에 백두산천지·정줴사[]·전샤오공주묘 []·룽후석조각[]·이커당아비[]·시구청[西아오둥청[]·바롄청[] 등의 고대유적이 남아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연변대학·연변의과학원·연변사범대학·연변예술학원·농업학원이 있고,특히 연변과학기술대학은 짧은 기간동안 괄목한 발전을 이루고있다.

'YANBI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변한국국제학교  (4) 2005.09.14
연변통신3  (1) 2005.09.13
연변통신2  (1) 2005.09.13
연변통신1  (1) 2005.09.13
연변과학기술대학 - 정진호 교수  (4) 2005.08.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