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돌고래들 ‘눈물어린 장례식’ 첫 포착
죽기 직전의 동료 호흡 돕기위해 물 위로 밀어 국립수산과학원 ‘이타적 집단행위’ 동해서 촬영 동해에서 참돌고래의 장례식(사망 고래에 대한 집단행동)이 처음 확인됐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는 6월 27일 울산∼포항 해역에서 고래 출현 조사를 하던 중 울산 정자항에서 18km 떨어진 바다에서 숨지기 직전의 참돌고래를 다른 참돌고래 5, 6마리가 수면 위로 밀어 올리는 이타적 행동을 발견해 촬영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소는 “돌고래류의 사회성에 비춰 한 개체가 사망할 때 다른 무리의 이타적 집단행동은 일종의 장례식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군집생활을 하는 돌고래류는 어미가 다친 새끼의 호흡을 돕기 위해 수면 위로 밀어 올리거나 사망 직전의 개체를 다른 개체가 수면으로 밀어 올리는 행동을 한다. 고래연구소가 공개한 참돌고래의 장례식은 죽기 직전의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는 듯한 모습이었다. 움직임이 둔한 길이 2m가량의 참돌고래 한 마리 주위로 동료 참돌고래가 맴돌며 주둥이와 등으로 힘껏 수면 위로 밀어 올리기 시작했다. 힘이 없어 물 속으로 가라앉고 있는 죽기 직전의 동료 참돌고래의 주둥이를 물 밖으로 세워 산소호흡을 돕기 위한 행동이다. 1시간 넘게 같은 움직임이 반복됐으나 참돌고래는 힘이 다한 듯 주둥이가 서서히 물 속으로 가라앉았다. 그제야 나머지 참돌고래들은 해역을 떠나기 시작했고 장례식은 마무리됐다. 죽은 참돌고래는 외상이 전혀 없어 노쇠해 자연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장근 고래연구소장은 “지금까지 돌고래의 이타적 행위가 보고된 것은 인공사육 수조에서 관찰된 것이 대부분”이라며 “돌고래류의 독특한 사회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