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귀나무
자귀나무
손영자
나는 새가 되려다 꽃이 되었다
잎이 되었다
아니. 나무가 되었다
내 꽃은
깃털 중에서도 가장 보드라운 가슴깃털로 피고
내 잎새들은 질서 정연하게 날개깃털로 줄을 선다
오뉴월 햇볕 맑은 날
바람이 한바탕 숲을 휘저으면
나는
숲 속에 내려앉은 한 마리 봉황이 되어
학 보다도 더 우아하게 춤춘다
내 춤은 비상(飛翔)을 위한
몸짓이기에
밤이 되면 나는 드디어
내 보드라운 꽃을 이마 위에 볏으로 꽂고
잎새를 넓게 펴서 퍼덕이며
달빛을 차며 날아오르는
커다란 새로 환생(還生)하는 것이다.
자귀나무 꽃필 때
김사랑
자귀나무 꽃 필적에
푸른 잎새 묻어 둔
그리운 마음을 보셨나요
보고싶다
서쪽하늘 맴돌다오면
붉게 물들어 버린
철없이 좋아했던
그 마음을 아시는지요
가랑비에 속눈썹 적시던
그 사랑 때문에
내 사랑은 마냥 심장이 뛰던
자귀나무 꽃술처럼
부드러운 바람에 입맞춤하면
수줍게 꽁꽁 숨어버린
그녀를 아시는지요
초사흘 핼쑥해진 낮달처럼
스무살 열병으로 앓아대더니
덜익는 풋사랑이라서
남 몰래 고백 못하고
세월속에 묻어버린
희미해진 옛 사랑이여
가슴속에 키우던 속절없는
그 사랑을 아시나요
■哀絶한 逸話, 사랑의 傳說
자귀나무의 잎은 버드나무 잎처럼 가늘며 마주 붙어 있는 겹잎이다. 그런데 낮에는 그 잎이 활짝 펴져 있다가 밤이 되면 반으로 딱 접힌다.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잎들이 사이좋게 붙어 잔다고 생각했다. ‘저녁이면 어김없이 껴안고 잠을 자는 잎’ 그래서자귀나무의 또 다른 이름은 합환목(合歡木), 야합수(夜合樹), 유정수(有情樹) 등이다.
예부터 자귀나무는 사이좋은 부부에 비유되곤 했다. 그래서 이 나무를 안마당에 심으면 부부의 금슬이 좋아진다 해서 많이 심었다. 옛날 중국에 우고라는 사람이 조씨 성을 가진 부인과 살았다.
조씨 부인은 단오가 되면 자귀나무의 꽃을 따서 말린 후, 그 꽃잎을 베개 속에 넣어 두었다가 남편이 우울해하거나 불쾌해하는 기색이 보이면 말린 꽃잎을 조금씩 꺼내 술에 넣어 마시게 했다.
그 술을 마신 남편은 곧 전과 같이 명랑해졌다고 한다.
또 옛날 어떤 댕기머리 총각이 이웃에 사는 처녀에게 은밀히 자귀나무 꽃떨기를 건네주며 사랑을 고백했다. 그리고 두 사람은 결혼했다. 그러나 아기자기한 밀애(蜜愛)는 오래 지속될 수 없었나 보다.지혜 있는 아내는 단옷날 서실 책상에 슬쩍 자귀나무 꽃병을 올려놓았다. 그랬더니 남편은 외도를 싹 끊고 아내 곁에 돌아왔다. 미약(媚藥) 효험에 넘어간 처녀 때의 재치에 이번에는 남편이 몽혼(朦昏)된 것이다.
이 같은 우스개 탓인지 조상들은 자식이 결혼하면 예부터 신방 앞뜰에 자귀나무를 심었다고 전한다. 백년해로의 금슬을 기원해서다.